조산 예방에 주의해야 할 조언

해마다 신생아들의 건강이 악화되고 있어 조산이란 정상 임신 기간(38주)을 다 채우지 못하고, 임신 20주 9일~36주 6일에 미리 분만하는 것을 말합니다

Q. 조산의 원인은? 1. 태아의 기형 : 염색체의 이상이나 심장 이상 등 태아에게 선천적인 기형이 있을 경우 대개 임신 초기에 유산이 되는데요 일부의 산모의 경우에는 초기 유산이 아닌 임신 후기에 조산을 경험한다고 합니다

2. 임신부의 질환 : 임신부가 심장병이나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신장병, 폐결핵, 폐렴 등을 겪고 있다면 태반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해 조기 유산이나 임신 후기에 조산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3. 양수의 이상 : 양수의 양이 너무 많다면 양막(태아를 둘러싼 얇은 막)이 압력을 견디지 못해 출산 예정일 이전에 양수가 터질 수 있는데요(파수) 파수가 되면 양수가 한꺼번에 흘러나오면서 탯줄도 함께 나옵니다

이러한 상황은 임신부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하며, 반대로 양수가 너무 적다면 신장이나 방광에 문제가 발생하여 조산할 수도 있습니다. (쌍둥이나 거대아를 임신한 경우에도 양막이 터지기 쉬움)

4. 자궁의 이상 : 임신부가 자궁경관무력증에 걸리면 자궁경관이 태아와 태반의 무게를 버티지 못하면서 파수가 일어나 조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궁경관이 약한 임신부라면 임신 4개월 경 자궁경관 주의를 묶는 술로 조산을 얘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5. 자궁 내 감염 : 임신부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나 기생충에 감염되면 자궁경관이나 태반 등을 통해 태아도 감염되리 수 있어, 양막 파수나 자궁 수축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에 독감을 조심하며, 애완동물과의 직접적인 접촉은 피해야 합니다

6. 스트레스와 피로 : 임신부가 오랜시간 서 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면 고단하여 조산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그러므로 수면 시간을 늘려 피로가 쌓이지 않게 하며,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할 수 있도록 주위 가족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7. 임신부의 나이 : 20세 미만의 임신부는 자궁이 덜 성숙하기 때문에, 35세 이상의 임신부는 자궁의 노화가 진행된 상태이므로 조산의 위험이 높습니다

1. 몸을 따뜻하게 하자 : 몸이 차면 혈액순환이 잘 되어 자궁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서늘한 곳에서도 긴 소매의 옷을 입고, 하반신이 차갑지 않도록 양말을 챙겨 신는 것이 좋습니다

3. 8개월 이후 복대는 NO! : 복대가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몸이 차가워져 자궁 수축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임신 후기에는 복대나 꽉 끼는 옷은 피해야 합니다. 또한 배를 부딪치거나 넘어지는 것도 조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많은 곳은 피하고, 걸음걸이도 조심해야 합니다

4. 변비와 설사를 주의하자 : 웅크린 자세로 힘을 오래 주거나 설사가 심하다면 자궁이 수축되는데요 조산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조심해야 합니다